지역문화자원 아카이빙의 시작!
3. 지역문화자원 아카이브 매뉴얼 | 1. 지역학, 지역문화자원 아카이빙 토대 현재 전국의 지역문화원은 향토문화연구소 또는 지역학연구소를 설치하여 이를 중심으로 ...
본 매뉴얼은 지역문화원의 지역문화자산 아카이브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까닭에 지역문화원이 그동안 역점을 두고 조사, 연구했던 역사문화자원을 첫 번째 ...
아카이브는 문화도시 사업과 결합해 지역의 과거와 현재를 기록하는 활동도 활발히 합니다. 이런 활동들은 지역 공동체에 속한 주민들의 자긍심을 높일 ...
지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아카이빙 사업이 단지 과거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지역민과 이주민, 거시 역사와 미시 역사, 공동체와 개인 등 다양한 카테고리를 ...
[마을정책이슈브리프 7호-3] 우리는 왜 지역을 기록할까? 읽기 :
성북마을아카이브도 이렇게 곳간에 양질의 재료를 채워두기 위해 시작되었다. 2017년 말 성북구청은 성북구 마을기록화 사업을 함께 할 것을 성북문화원에 ...
문화 · 예술 아카이브의 중요성과 발전방안 - 국가기록원
고대 사회. 에서 기록을 보존하던 장소는 궁전이나 사원이었으며, 르네. 상스 이후 사회구조의 변화와 인쇄술의 발전을 통해 도서관. 과 박물관의 분리가 시작되었고, 근대 ...
자료 및 문화유산으로 인식된 지역의 문화예술유. 산의 수준을 알릴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후. 세에 대구의 문화예술자원 현황을 보여주는 역사. 자료로서의 보고 ...
문화원의 초창기 활동을 보면 정부의 시책을 홍보하는 공보관이나 지역의 향토문화를 계발하고 보급하는 향토사료관, 그리고 지역에서 개최되는 각종 문화 ...
지방문화원의 지역학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춘천문화원을 중심으로
우선 아카이브 자원발굴 전략에서는 지역고유의 문화 활용에 관한 주제로 3가지 전략과제, 지역 자료수집 및 생산에 관한 주제로 3가지의 전략과제가 도출되었다. 유관기관 ...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보존하기 위해 지역 자원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활동은 공공도서관의 고유한 기능 중 하나이. 다. 공공도서관은 이러한 사회적 관심 ...
[문화+아카이빙] 부울경 아키비스트(Archivist)양성과 지역공동체 ...
다시 말해 아카이빙이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은 디지털 환경이 구축되면서 거대한 정보화 물결이 일기 시작하였고 1999년 공공기록물법(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
한국문화원연합회, '지방문화원 지역문화자원 아카이브 구축 매뉴얼 ...
지방문화원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에 관심을 두기 시작한 2000년대 이전부터 지역 고유의 향토사와 향토 문화에 집중해왔다. 지역학 총서를 발간하고, ...
지속가능한 보존관리를 위한 지역 근대문화자원 아카이브 구축 연구*
도시 고유의 역사문화자원이 보존․관리되고. 삶의 현장에 살아서 활용되는 것이 ... 셋째, 근대문화자원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것은 지역의 역사적 문화자. 원을 ...
지역문화진흥법에서 '지역문화진흥의 기본 원칙을 지역 문화의 고유한 원형의 우선적 보전'으로 지역문화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지침에서 '지역문화정보'에선 ' ...
지역 아카이브와 경기도메모리 - 사서지원서비스 - 국립중앙도서관
지역 아카이브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생산주체와 다른 주체들을 잇고, 자원을 연결하는 등의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나 ...
신안군, 국제 캠페인 활동과 지역 문화유산 아카이빙 시작 - 전남중앙신문
이 온라인(www.islands-network.or.kr)플랫폼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당제/당숲 아카이빙' 지역조사 프로젝트와 '바다숲 알리기 산다이' 국제 캠페인의 ...
이를 위한 추진과제로 소멸 위기의 당대기록사업, 개인·공동체의 역사(생활사) 기록사업, 마을 등 잊혀진 지역문화 복원사업 등의 과제를 도출하고 있다.
살아 움직이는 해석과 활용 | arte365 - 아르떼365
2020년 3월에 오픈된 서울기록원 디지털 아카이브는 서울의 역사와 기록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주택/도시계획 기록 17만 건, 시정 사진 98,901장 등으로 ...
인문학 활성화를 위한 도시 아카이빙의 사례 연구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도시 경관 아카이빙의 대상은 6대 광역지자체 '도시 경관 기록화사업'과 '원주24 도시기록 프로젝트', 도시 공간 아카이빙의 대상은 역사문화를 주제로 한 '목포 근대역사 ...
이렇게 확보한 구술자료는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 보존되며 한국문화원연합회와 연계하여 통합 적 관리가 가능해졌다. 이로써 지역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 ...